일상

볼링의 기초지식

세구너 2019. 5. 14. 13:12
728x90
반응형

볼링이란

13~14세기 무렵 독일의 한 교회에서 성행했던 의식으로 악마에 견준 곤봉을 쓰러뜨린 것에서 유래된 볼링은 지름 22cm 의 비금속성 공을 굴려 열 개의 핀을 쓰러뜨리게 하는 실내경기이다.(10핀볼링) 볼링은 비장애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시각장애인과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모든 장애인이 능히 할 수 있는 생활스포츠이다.

목적 및 효과

장애인 생활체육 활동은 치료수단이나 심리적인 가치, 사회 통합의 수단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체육 활동 중 신체적 특징으로 다양한 종목을 접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 볼링은 안전한 시설 기구, 적당한 운동량과 여가 활용의 차원에서 아주 적합한 운동이다.

볼링은 장애인들의 심신 단련과 대인관계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 재활분야에 과학적으로나 의학적으로 그 유익함이 입증되고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으로 현대인의 여가선용과 건강관리에 아주 적합한 운동이다.

볼링 용구 - 볼

규격

볼링볼의 무게는 16LB(약 7.2kg)를 초과할 수 없으며, 원둘레는 27인치(약 68.58cm)로 직경이 일정해야 한다. 또한 공의 표면에는 어떠한 이물질도 부착할 수 없으며, 볼의 경도는 72듀로미터(durometer)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구조

70년대까지의 볼링볼은 외피(Cover stock), 코어(core), 웨이트 블록(weight block)의 세층을 가지는 3피스(piece)볼이 전부였으나, 80년대에 들어서 볼의 파괴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됨에 따라 소재가 다양해지고 구조도 복잡해졌다. 둥근 공모양이었던 코어가 여러 형태로 변해가면서 2피스 볼이 등장하였고, 현재 만들어지는 공들의 기준이 되고 있다.

공의 성질

볼링공은 3가지의 특징으로 분류된다.

  • 연성(soft): 강도 76듀로미터 이내로서 표면이 거칠고 기공이 많은 볼이다. 레인과 마찰이 강하여 많은 훅을 유발함으로 오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레인에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따라서 강한 훅과 다이나믹한 핀 액션을 유발한다.
  • 강성(hard): 강도 80듀로미터 이상의 볼로서 광택이 나고 기공이 적어 레인과의 마찰이 적은 hf이다. 주로 오일층이 얇거나 드라이한 레인에 적합하며 스페어 처리용으로 사용된다.
  • 중성(neutrino): 연성볼과 감성볼의 중간적인 특성으로 우레판, 플라스틱, 폴리 우레판의 재질로 이루어져있다.

볼의 선택

  • 볼 전체 무게로 볼러는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무게의 볼을 사용하여야 한다.
  • 엄지와 손가락 구멍 사이의 웨이트 블록의 관계이다. 웨이트 블록위의 중심에 지공하는 대신에 웨이트 블록의 한족에 지공하는 것은 볼의 한쪽에 특히 더 많은 무게를 주기 위한 것이다.
  • 볼을 선택할 때에는 체중에 알맞은 무게의 볼을 선택하여야 한다.
  • 하우스볼을 사용할 경우는 손가락에 맞는 볼을 선택하여 손에서 볼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볼의 회전력을 높여주는 보조용구-손목보호대

손목 보호대는 투구 시 손목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볼의 회전력을 높여주는 보조용구로서 자신에게 맞는 손목보호대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볼링 용구 - 볼링화

볼링화를 신어야 하는 이유

볼링 경기를 하는데 있어서 볼링공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볼링화이다. 정확한 스텝(step)을 걸어야만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볼링화의 구조

볼리의 특성상 마지막 스텝은 발이 미끄러지는 슬라이딩(sliding)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슬라이딩을 하는 발(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왼발)의 밑창은 가죽으로 되어 있고 반대쪽 밑창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로 되어져 있다.

볼링 용구 - 볼링핀

재질

핀은 볼과 부딪히는 강한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고 견고한 단풍나무로 만들며, 표면은 특수 도료로 칠해져 있다.

구조

핀의 밑 부분은 각이 지지 않아 넘어지기 쉬운데, 이것을 막기 위하여 고리 모양의 글라스 파이버를 부착시켰다.

핀의 표면

핀 표면은 흰색으로 칠해져 있는데 어깨부분에는 공인표와 생산자의 마크가 붙어 있다. 공통 규격을 인정하는 표가 떨어지거나, 칠한 것이 벗겨진 핀은 공식 경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핀의 무게

핀의 무게는 3파운드 6온스(약 1.3kg) 이상 3파운드 10온스(약 1.6kmg)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며, 핀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핀의 배열

레인 끝에 핀을 세워 놓는 부분을 핀 텍(pin deck)이라 하며 어프로치를 기준으로 할때 역삼각형의 형태로 핀들이 배열된다. 맨 앞에 있는 핀을 헤드핀이라고 하며 1번기고, 둘째 줄에 있는 핀들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로 2,3번, 셋째줄에 있는 핀들은 왼쪽부터 4,5,6... 순으로 번호가 정해져 있다. 이웃한 핀끼리의 거리는 핀의 중심에서 중심까지 30.48cm 이고, 핀의 표면 중 볼록한 부분에서 볼록한 부분까지는 18.38cm 이내로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볼링의 기초지식

볼을 굴려 역 삼각형으로 세워져 있는 10개의 핀을 넘어뜨리는
볼링의 한 게임은 10프레임(Frame)

게임방법

  • 볼을 굴려 역 삼각형으로 세워져 있는 10개의 핀을 넘어뜨리는 볼링의 한 게임은 10프레임(Frame)으로 이루어져있다.
  • 한 프레임은 1회 또는 2회의 투구를 하게 되는데, 마지막 10번째 프레임에서는 3번 투구할 수 있는 보너스 프레임이 주어진다. 그러나 스페어 미스를 했을 경우는 보너스 프레임이 없다.
  • 첫번째 투구에서 10개의 핀 가운데 모두 넘어뜨리면 스트라이크(strike)가 되고 10개를 다 넘어뜨리지 못하고 남이있는 핀을 스페어(spare)라고 하며 두번째 투구를 하여 스페어 처리를 할 수 있다.
  • 스페어 처리를 했을 때는 스페어 메이드(made)라고 하며 나머지 핀 모두 넘어뜨리지 못했을 때는 스페어 미스라고 한다. 스페어 미스를 하고 핀이 남아있어도 자동 세팅이 되고 두번째 프레임으로 진행된다.
  • 첫번째 투구에서 거터(Gutter) 또는 파울(Foul)을 하고 두번째 투구에서 10개의 핀을 넘어뜨렸을 때는 스트라이크가 아니고 스페어로 처리된다.

주의사항

  • 볼링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는 스스로의 스텝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 알아야 하므로 전문가(경력 5년 이상의 실력자)의 조언을 받는 것이 좋다.
  • 처음부터 무리하게 스텝을 따라하려하지 말고, 걸어가는 것부터 시작하여 천천히 스텝을 익혀야 한다.
  • 볼링을 처음 접했을 때는 1개월~3개월은 하우스 볼로 무게별 테스트 등을 농한 후 마이볼을 가지는 것이 좋다
  • 본인의 몸 상태를 잘 파악한 알맞은 스텝법과 볼을 사용해야 한다.

에티켓

  • 볼링화를 필히 착용하고 경기한다.
  • 경기 중에는 음주나 흡연을 금지하고 음료수도 지정된 장소에서 음용한다.
  • 볼링장을 청결하게 이용한다.
  • 경기 중 파울라인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 아프로치에서는 지연투구를 하지 않는다.
  • 좌, 우 인접 레인의 선수가 어프로치에 동시에 등단했을 경우 우측 선수에게 순서를 양보한다.
  • 경기 중 타인의 볼을 허락없이 사용하지 않는다.
  • 스코어가 나쁜 것을 레인(Lane) 상태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 같은 레인 또는 인접 레인의 선수가 스트라이크나 스페어를 했을 때는 박수로 격려해 준다.
  • 타인의 투구 동작에 방해가 되는 언행은 삼간다.
  • 타인의 경기 방법을 비방하거나 고성과 간섭으로 경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안전사항

안전에 유의하여 더욱 즐거운 볼링을 즐기세요

볼링화에 습기는 절대 금물이다.

볼링화에 습기가 있을 시 어프로치에 미끄러짐 상태가 없어 걸려 넘어져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볼은 안전하게 잡는다.

볼을 잡을 때 볼과 볼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거나 떨어뜨려서 발을 찧는 경우가 있다.

준비운동을 충분히 한다.

볼링은 몸을 부딪치며 하는 운동은 아니지만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이므로 기본 준비운동은 필수적이다.

 

볼의 구질

스르테이트 볼

구질이란

릴리즈 된 볼이 핀에 도달할대까지 구르며 회전하는 모양

  • 투구된 볼이 휘어지지 않고 직선으로 핀을 향하여 굴러가는 형태
  • 볼의 회전이 정면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핀에 부딪히는 힘이 부족
  • 스트레이트 볼은 컨트롤이 쉽고 정확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적합함

투구방법

투구 동작의 마지막 단계인 릴리즈에서 엄지손가락이 12시 방향으로 놓이게 하고 중약지로 리프팅 하면서 팔로우드로우를 한다.

훅볼

  • 투구된 볼이 일직선으로 굴러가다가 핀에 가까워지면서 왼쪽으로 휘게 되는데 갈고리 형으로 핀에 파고드는 형태
  • 스트레이트 볼처럼 전진하다가 핀 앞에서 이르러 왼쪽방향으로 회전이 가해져 핀에 부딪히는 순간 강한 충격을 주게 되어 스트라이크 확률을 높여줌
  • 중급 이상의 볼러들이 많이 사용하는 구질

투구방법

릴리즈 되는 순간의 엄지 손가락이 10시 방향으로 놓이게 하고 중약지로 리프팅하면서 팔로우드로우를 한다.

커브 볼

  • 투구된 볼이 활모양을 그리고 굴러가는 형태
  • 커브 볼은 옆으로 돌려고 하는 힘이 앞으로 구르려고 하는 힘보다 큰편이다. 이 구질은 핀을 강타했을 때 볼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튀기면서 다른 핀을 넘어뜨리는 핀 액션이 대단히 큼
  • 볼을 컨트롤 하기가 어려워 초보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투구방법

릴리즈 되는 순간에 엄지 손가락을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틀어줌과 동시에 중약지로 리프팅 하면서 팔로우드로우를 한다.

백업볼

  • 투구된 볼이 훅 볼의 반대방향으로 굴러가는 구질
  • 볼의 릴리즈 단계에서 엄지손가락의 방향이 몸의 안쪽으로 향하지 않고 몸 바깥 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리프팅이 되어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현상
  • 백업 볼을 사용하는 볼러는 팔과 손가락의 힘을 길러서 릴리즈 시 엄지의 방향이 몸의 안쪽에서 빠지도록 해야 함

 

스윙

스윙의 원리

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팔로서 볼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볼이 팔을 흔드는 느낌으로 스위하여야 한다.

펜주람 스윙(Pendulum swing)

시계추의 운동을 말하는데 볼링에서 이상적인 스윙방법

스위시 주의사항

  • 앞으로 움직임이나 뒤로 움직일대 힘의 배분이 동일할 것
  • 어깨의 흔들림이 없을 것
  • 볼이 동일 궤도선 상에서 움직일 것
  • 볼의 무게를 충분히 이용하여 스윙할 것
  • 힘이 들지 않는 자연스러운 스윙할 것

스윙의 부분동작

스탠드

  • 전체적 자세: 무릎 20°, 허리는 15° 정도 앞으로 구부린다.
  • 발:양발은 평행으로 정면을 향해 서고 첫 번째 스텝을 내딛는 발은 다른 발보다 반족장 정도 뒤에 두면 이상적이다.
  • 어깨: 정면과 평행을 이루며 한쪽 어깨가 처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팔:볼을 든 팔꿈치는 옆구리에 고정시키고 볼의 위치는 스위과 스텝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허리 높이에 위치한다.
  • 시선:타깃에 고정시키고 투구가 끝날때 까지 타깃을 주시하여야 한다.

푸시어웨이

  • 첫 스텝이 앞으로 나아갈 때 동시에 볼을 앞으로 가져가는 동작
  • 위치:볼을 앞으로 쭉 밀거나 뻗치는 것이 아니라 원을 그리듯이 아래로 내려서 오른발 위에(왼손은 왼발) 위치하게 한다.

다운스윙

  • 푸시어웨이한 볼의 무게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린다.
  • 주의 팔과 손목이 굽혀지지 않도록, 팔이 신체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백스윙

  • 다운스윙에서 내려오는 볼의 힘을 이용하여 그대로 뒤쪽으로 이동하는 동작
  • 위치:어깨선까지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포워드 스윙

  • 백스윙의 정점에서 다시 앞으로 내려오는 동작
  • 볼이 내여올 때 볼을 잡은 손도 자연스럽게 내려오면서 어깨에 힘을 충분히 뺀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함
  • 주의힘을 가하여 볼을 끄집어내리는 듯이 해서는 안된다.

릴리즈

  • 포워드스윙을 최하점에서 볼을 놓는 동작
  • 볼의 투구방향과 회전력, 그리고 스피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동작
  • 올바른 릴리즈를 하기 위해서 마지막 스텝에서 슬라이딩에 들어간 후 엄지가 볼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 엄지가 10시 방향(왼손은 2시)으로 볼 측면아래에서 중약지로 볼을 리프트하는 것
  • 스위하는 동안 생긴 볼과 손의 관성과 운동이 엄지가 빠진 후 볼이 계속 앞으로 향하도록 유지
  • 주의:손목을 고정시키는 것과 과잉의 리프트가 되지 않도록 주의

팔로우 스루

  • 볼이 릴리즈 동작을 거쳐 팔을 그대로 위로 올리는 동작
  • 팔로우스루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릴리즈에 영향을 준다.
  • 팔로우스루는 팔을 앞으로 내민 후 위로 올리며 몸 전체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주의:릴리즈 후에도 손은 목표라인과 일치하도록 하며 팔은 계속해서 원을 그리고 위로 향하도록 한다

 

스텝법

  • 스텝과 스윙이 가장 잘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표준형 스텝이라고 불린다.
  • 초보자나 중급 볼러가 가장 많이 이용
  • 4스텝으로 시작하여 5스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 가장 이상적인 스텝

제1스텝

첫 스텝에서는 오른발과 오른팔(왼손은 왼발과 왼팔)이 먼저 움직인다. 오른발 첫 스텝이 나갈 때 동시에 오른팔의 볼을 앞으로 밀면서 아래로 내려 오른발위에 위치하게 한다.

주의사항

  • 보폭은 짧아야 하는데 자신의 보폭 절반을 넘지 않아야 하며 발은 정면을 향해 곧게 나간다.
  • 너무 높거나 낮으면 스텝과의 밸런스가 안맞고 오른쪽 바깥쪽으로 가면 백스윙 시 등뒤로 볼이 들어가 버리고 반대로 왼쪽으로 가면 백스윙시 팔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제2스텝

두번째 스텝은(down swing)으로 왼발(오른발 볼러 기준)이 앞으로 나가고 볼을 잡는 팔은 원을 그리며 아래로 내린다. 왼손은 스텝이 시작되면서 볼에서 손을 뗀다. 스텝은 일직선 상에서 움직이며 어깨는 핀을 향해 정면으로 자세를 취한다.

주의사항

  • 스텝은 발뒤꿈치가 먼저 닿으며 바닥에 붙여 미는 듯한 느낌이 좋다.
  • 다운 스윙은 오른손만으로 볼을움직이기 때문에 어깨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제3스텝

세번재 스텝은 백스윙(back swing)으로 오른발이(오른발 볼러 기준) 앞으로 나가면서 동시에 볼은 원을 그리며 뒷부분의 가장 좋은 지점(백스윙의 정점)에 있게 된다. 보폭은 두번재 스텝보다 크게(1보 반정도) 잡는다. 백스윙은 다운스윙의 원심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오른팔에 힘을 가해서는 안된다.

주의사항

  • 백스윙의 높이는 어깨선과 평행을 이루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 백스윙의 정점에서 오른손은 볼을 위해서 감싸쥐고 있는 형태를 취하며 손목이 좌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제4스텝

네번째 스텝은 두번째로 왼발이 앞으로 나가면서 슬라이딩을 하며 보폭은 가능한 한 크게 벌리고 볼을 들고 있는 팔을 원을 그리며 내려오며(포워드 스윙) 최하점에서 엄지가 먼저 볼에서 빠지고 중지와 약지가 빠지면서 볼을 리프트한다. 스텝이 끝난 후 볼은 스윙시 가장 낮은 지점에 오게되며,오른 손은 레인 바닥을 향하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릴리즈가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멈춤없이 팔로우드로우가 되어야 한다.

주의사항

  • 정확한 슬라이딩이 되지 않으면 몸의 균형을 잃어버리면서 정확한 투구를 할 수가 없다. 발의 전체가 바닥에 닿은 상태로 무릎은 충분히 굽히고 허리는 낮추며 슬라이딩 하여야 한다.
  • 투구가 끝난 후에는 몸의 중심을 왼발에 두고 상체는 흔들림 없이 정면을 향해 있어야 한다. 자신의 어깨선이 파울 라인과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릴리즈와 팔로우드로우

  • 릴리즈 동작은 볼의 투구 방향과 회전력 그리고 스피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동작이다.
  • 릴리즈는 4스텝을 기준으로 세번재 스텝에서 4스텝을 마침과 동시에 엄지가 볼에서 빠져야 한다. 볼을 계속하여 올바르게 잡고 있으면 엄지는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 중지와 약지 손가락은 계속 구멍에 있는 상태에서 직선으로 들어 올린다(lifting). 적절하게 잡고 있으면 볼에 스핀을 주어 자연적으로 핀을 향해 나아가면서 훅(hook)이 일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팔로우드로우시에 손은악수하는 자세로 원을 그리며 천정을 향해 위로 올리면 손가락은 볼에서 자연스럽게 빠진다. 이때 손은 스윙이 완전히 끝날때까지 목표라인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스페어 처리

스페어 처리를 위한3가지 원칙

키 핀(key pin)을 노려라

  • 스페어 처리하기 위해서는 제일 앞 쪽의 핀을 먼저 노려야 한다. 이른바 키핀이다. 키핀을 쓰러뜨리지 않고는 스페어를 처리할 수 없다.

핀 액션을 계산하라

두 개 이상의 핀이 남았다면 처리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 키 핀을 쓰러뜨리면 쓰러지는 키핀이 다른 핀을 쓰러뜨리는 핀 액션 방법
  • 볼이 키 핀을 쓰러뜨린 후 다른 핀을 다시 쓰러뜨리게 하는 방법
  • 주의:볼로 모든 핀을 쓰러뜨리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핀 액션을 계산해야 한다.

가능하면 볼로 처리하라

  •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볼로 스페어를 처리하려는 자세가 바람직하다.
  • 핀 액션도 가능하고 볼로 모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한 경우라면 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핀 액션은 상당한 정확도를 필요로 하므로 확실한 길은 볼에 있다.

 

728x90
반응형